지난번에 네이버 메인에도 소개되고, '전원 속의 내 집'잡지에도 소개되었던 광주 동명동의 '콕'패시브하우스가 이번에는 '브리크'잡지에도 소개되었습니다.
동명동 상가주택 ‘콕’
Mixed-Use House ‘Coak’
집이 지어질 터의 위치를 보자마자 떠오른 단어가 ‘콕’이다. 넓지 않은 폭에 긴 형태로 도로에서 진입이 돼야 하는 대지와 건물의 형태는 새로운 그 무언가의 강렬한 이미지로 ‘콕’ 박혀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최근 젊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동네가 되면서부터 조용한 주택가와 상권이 혼재돼 있어 적당히 호젓하면서도 적당히 분주했다.
콕coak은 영어의 사전적 의미로 나무마개, 장부 등의 뜻을 갖고 있다. 좁고 기다란 땅에 집이 주택가와 상권의 그 틈을 메꾸는 장부 같았고 한글로는 땅에 집이 단단하게 콕 박혀 있는 모습을 연상하였기에 지은 이름이다.
건축주도 이러한 동네를 무척 좋아하였다. 오히려 상권의 확장이 주거환경에 영향을 줄까봐 걱정하기도 하였다. 언제 집을 지을지는 모르지만 건축주는 단순한 동경으로 이 집터를 매수하였고, 그 이후로 집을 짓기로 마음먹을 때까지 2년여의 시간이 흘렀다 한다.
처음 만났을 때 건축주는 이 대지를 매수한 이후 건물의 용도, 규모, 건축시기 등 어떤 집을 지어야 할 지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건축주는 우리 요구대로 자신들의 일상을 그려갔고, 일상을 되돌아보며 자신이 원하는 공간들이 어때야 하는지 구체적인 이야기로 풀어주었다. 그 글을 읽고 건축주 입장에서 공간을 그려나갔다.
결국 건축가가 건축주가 되어 자신이 살고 싶은 공간을 그리는 게 설계의 시작이였고 끝이었다.
온 가족이 집에서 같은 시간을 보내게 되는 공간뿐 아니라 부부 각자가 안정된 휴식과 수면을 취할 수 있는 분리된 공간도 고려해야 했다. 그 외의 공간은 아이들을 위한 공간으로 구성되기를 원했다.
마당을 사이에 둔 앞집과 뒷집으로부터 확보되지 못한 프라이버시 문제도 있었다. 집 벽에 붙여 사용한 조립식 평상은 손쉽게 집 안과 밖을 드나들 수 있는 추억의 공간이었기에 새로 지은 집에서도 풍부한 외부공간을 구성하기를 희망했다.
건축주 가족이 이 집에서 오랫동안 살 수 있도록 고려된 사항이 있다. 아이들은 자라고 언젠가는 부모의 품을 떠나거나, 아니면 독립된 가정을 꾸리고 같이 살 수 있다. 이 집은 아이들이 자란 후, 가족들의 라이프사이클에 맞추어 공간 구획이 추가로 가능할 수 있도록 가변 성능을 확보하였다. 현재 두 용도로 나뉜 현관도 가족 구성원의 변화에 따라 상황이 바뀌면 2층의 독립된 세대를 구성할 수 있게끔 설계되어 있다.
가장 중요하게 고려했던 사항은 외단열의 단열성능과 시스템창호에 의한 기밀 성능 확보, 그리고 열회수 환기장치를 통한 환기 성능이었다. 이 요소들은 패시브 건축 기법의 가장 중요한 요소 이기도하다.동서남북의 향에서 주택의 창호는 주로 남향으로 열려있기에 한 겨울에도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 에너지원은 보일러 가동시간을 줄이게 된다.
어느덧 건축주 가족이 입주한 지 몇 개월이 흘렀다. 건축주는 처음 방문해 상담 시 보여주었던 막연한 불안감, 걱정 등은 기우에 불과하였고 집을 짓는 내내 편하게 즐겁게 집을 지을 수 있었다고 한다. 건축가는 건축주의 바람들을 꼼꼼히 챙기는 것부터 시작하였고 내 집처럼 집을 지어줄 수 있는 성실한 시공사를 만날 수 있었으며, 무엇보다 건축주가 현명하고 따뜻했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집을 지을 수가 있었다.
- 조한준 건축사사무소 브리크 인터뷰 내용
동명동 상가주택 '콕' Mixed-use House 'Coak' - 브리크매거진 - BRIQUE MAGAZINE
에디터. 박종우 글 & 자료. 조한준건축사사무소 JoHanjun Architect 집이 지어질 터의 위치를 보자마자 떠오른 단어가 ‘콕’이다. 넓지 않은 폭에 긴 형태로 도로에서 진입이 돼야 하는 대지와 건
magazine.brique.co
- 조한준 건축사사무소 소개
조한준건축사사무소 JoHanjun Architects - 브리크매거진 - BRIQUE MAGAZINE
건축설계, 인테리어, 리모델링 등 건축과 관련한 부동산 개발 전반에 걸친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자인 집단이다. 주로 도시 안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작은 스
magazine.brique.co